본문 바로가기
생활 및 건강

겨울을 안전하고 따듯하게 보내는 방법

by 일상 지기 2022. 12. 8.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겨울이 와도 크게 춥지 않은 날이 계속되었는데요. 하지만 곧 북극에 갇혀있던 차가운 공기가 한국으로 밀려들어오며 남은 겨울은 역대급 한파가 찾아올 수 있다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파 속에서도 따듯하고 안전하게 겨울을 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폭설 대비 방법
- 한파 대비 방법
- 화재 예방법

 

폭설 대비 방법


폭설이 내릴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집 앞과 내 점포 앞에 쌓인 눈을 제 때 치워 빙결로 인한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서울시에서는 제설 작업은 해가 떠있는 낮 시간에는 눈이 내리고 4시간 이내, 밤 시간이라면 다음날 아침 11시 이전까지 작업을 완료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제설 작업을 어디까지 진행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면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제설 작업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건물에 따른 제설 범위

 

이미 눈이 쌓여 얼기 시작했다면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이나 모래를 뿌려두는 것이 좋습니다. 염화칼슘이나 모래를 적시에 사용하기 위해서 우리 집 주변이나 매장 주변에 염화칼슘과 모래가 보관되어 있는 장소를 미리 파악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운전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TV나 라디오 등을 통해 기상 상태와 교통 상황을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눈이 많이 오는 상황을 대비하여 스노우 체인, 모래주머니 등을 차에 보관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눈이 내리면 차가 쉽게 미끄러지므로 차 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전하게 운전을 하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한파 대비 방법


한파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수도관이나 보일러 배관의 동파입니다. 이에 따라 기상청에서 제공해주는 동파 가능지수를 확인하여 미리 동파를 예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기상청 동파가능 지수 확인

 

동파가능지수 > 생활기상지수 > 생활기상정보 > 기상플러스

 

testweather.kma.go.kr

 

동파 방지 방법
- 외부에 노출된 수도관 및 보일러 배관에 보온재를 덧대어 줍니다.
-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 물방울이 한 방울 씩 떨어지도록 수도꼭지를 틀어둡니다.

 

만약 수도 계량기가 동파됐을 경우 서울시 다산콜센터(국번 없이 120)에 신고하면 빠르게 조치를 받을 수 있다고 하니, 미리 알아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한파로 피해를 입었거나 위험한 상황이라면 서울시 자치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파대책본부에 연락을 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서울시 자치구별 한파대책본부 연락처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서울시 자치구별 한파대책본부 연락처 이미지

 

화재 예방법


마지막으로 겨울은 날씨가 추운만큼 온열기구의 사용량이 증가하며, 날씨가 건조하여 화재 사고의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계절입니다. 그래서 화재 사고를 미리 예방해놓고 사고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사고가 나더라도 피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재 예방법
- 온열기구 근처에 불에 잘 타는 물건을 두지 않습니다.
- 온열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을 끄도록 합니다.
-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온열기구를 동시에 연결하지 않습니다.
- 가정 혹은 매장에 소화기를 미리 구비해둡니다.

 

화재 사고를 철저하게 대비했음에도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면, 다음 순서를 따라 조치하여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재 대처 방법
1) 크게 '불이야'를 외치며 화재경보기를 울립니다.
2)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으로 입을 막고 몸을 낮춘 채 이동합니다.
3)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이용하여 이동합니다.
4) 안전한 곳으로 이동 후 119에 신고합니다.

 

오늘은 겨울철을 더욱 안전하고 따듯하게 보내기 위해 폭설, 한파 그리고 화재 사고를 미리 대비하고, 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어 많은 분들이 이번 겨울을 무사히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