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날씨가 추워지고 한파가 찾아오면 우리 건강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질병 관리청에서는 한파로 인한 질환을 예방하거나, 한랭 질환으로 인한 증상을 공유하며 단단히 건강을 챙길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랭질환의 종류와 예방법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목차
- 한랭질환별 증상 및 응급조치 방법
- 한랭질환 예방법
한랭질환별 증상 및 응급조치 방법
한랭질환은 기온이 급격하게 내려가며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크게 저체온증, 동상, 침족 및 침수병이 있습니다. 각각의 병의 증상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응급조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저체온증
체내의 주요 장기의 온도가 35℃ 이하로 떨어지는 질병을 이야기합니다.
증상
- 몸 떨림
- 피로감 혹은 졸림
- 어눌한 말투
응급조치 방법
- 가능한 빨리 환자를 따듯한 곳으로 이동
- 환자의 정신이 있다면 따듯한 음료나 단 음식을 섭취
(단, 환자의 정신이 없다면 음식물 섭취는 금지)
2. 동상
강한 한파에 피부가 노출되어 손상을 입은 질병을 이야기하며, 주로 코, 귀, 손가락, 발가락 등에서 발생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부위 절단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증상
- 피부색이 점차 흰색이나 누런색으로 변함
- 증상 부위의 피부가 단단함
- 피부 감각기 무뎌짐
응급조치 방법
- 가능한 빨리 환자를 따듯한 곳으로 이동
- 환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
- 동상 부위를 약간 높게 유지 (부종 및 통증 완화)
- 37℃~39℃의 따듯한 물에 20~40분 담가 몸을 녹여줌
(단, 다시 물이 얼 수 있는 환경에서는 물에 담그는 조치는 취하면 안 됨)
3. 침족병 및 침수병
차가운 물(10℃ 이하)에 손이나 발이 오래 노출되어 있는 경우 피부에서 발생하는 손상 증상을 이야기합니다.
증상
- 증상 초반에는 환부가 가렵거나 무감각하고 저린듯한 느낌이 듦
- 증상이 진행되면 환부가 부어 보이고 피부가 빨갛거나 검푸른색을 띰
- 시간이 지나면서 물집이 생기거나 해당 부위의 피부과 괴사
응급조치 방법
- 젖은 신발이나 양말, 장갑을 벗어 신체에서 제거
- 손상 부위를 따듯한 물에 조심스럽게 씻긴 후 완전히 건조
한랭질환 예방법
한랭질환은 기본적인 건강 수칙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병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되는 만큼 한랭질병을 잘 예방하여 건강하게 겨울을 나시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은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여러분의 겨울 건강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생활 및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을 위한 실천,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제도 안내 (0) | 2022.12.14 |
---|---|
전세금을 지키는 방법,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제도 정리 (0) | 2022.12.13 |
겨울을 안전하고 따듯하게 보내는 방법 (0) | 2022.12.08 |
2023년 손 없는날 총정리 (0) | 2022.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