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및 건강

자동차 급발진 발생 시 조치 방법

by 일상 지기 2022. 11. 22.

최근 뉴스나 블랙박스 사고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되는 사고 중 급격히 많이 보이는 사고 중 하나가 바로 자동차 급발진 사고인데요. 점점 자동차에도 자동 제어 기술이 탑재되면서 원인을 알 수 없는 급발진 사고가 많이 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급발진이 뭔지 알아보고, 급발진이 발생했을 때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사고가나서 좌절하고 있는 운전자 일러스트

급발진이란?


자동차 급발진은 운전자가 차량을 따로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자동차가 갑작스럽게 가속을 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자동차 급발진은 잦은 브레이크 사용이나 차량에 탑재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또한, 차량 급발진으로 사고가 나더라도, 사고 원인을 운전자가 증명해야하기 때문에 보상을 받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급발진 조치법


1. 브레이크 강하게 밟기

자동차가 급발진을 하는 경우, 가장 먼저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아야 합니다.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 밟을 경우, 브레이크의 압력이 차량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데요.

 

그 이유는 브레이크를 보조해주는 장비가 차량이 급가속할 때나 시동이 꺼질 때에는 브레이크의 힘을 온전히 전달되지 않도록 보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급발진 시에는 브레이크를 온 힘을 다해 강하게 밟아주어야 합니다.

 

2. 기어 중립(N)

다음으로는 기어를 중립으로 두어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를 분리시켜 동력을 차단해주어야 합니다. 다만, 차를 멈추겠다고 기어를 주차(P)로 놓게 될 경우에는 핸들 조작이 불가해지기 때문에 더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3. 주차 브레이크 잠그기

다음은 주차 브레이크를 잠그는 것입니다. 우선 레버식 주차 브레이크는 급가속 중 한 번에 급작스럽게 잠그게 되면, 빠른 속도로 달리던 차가 갑자기 회전하거나 전복될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레버식 주차 브레이크는 여러 번에 나누어 천천히 잠가야 합니다.

 

다음으로 최신 차량에 부착된 버튼식 주차 브레이크는 계속해서 길게 당기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4. 시동 끄기

앞선 조치를 다 했는데도 차량의 급발진이 멈추기 않았다면, 차의 시동을 꺼야 합니다. 단, 차량의 시동을 완전히 꺼버리면 핸들 조작이 되지 않아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ACC까지만 끄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주변 장애물 이용하기

마지막 방법은 주변의 장애물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차량 전문가들도 가장 추천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요. 운전자가 차량의 급발진을 인식하고 앞선 조치를 해도 소용이 없는 경우에는, 속도가 더 붙기 전에 주변 장애물을 이용하여 충돌하는 것이 더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비슷한 크기의 차량의 트렁크를 받는 것이 안전을 위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추가 정보


앞선 설명대로 급발진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는 차량 제조사가 아닌 운전자가 그 원인을 증명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운전자 부주의나 운전 미숙으로 운전자 책임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급발진 사고가 났을 때 운전자의 운전 미숙이 아니며, 브레이크를 밟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페달 블랙박스를 붙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페달 블랙박스 보러 가기

 

뉴다본다 급발진 촬영 NFT 페달 블랙박스+32GB 메모리카드 기본장착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오늘은 자동차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급발진 사로를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여러분들의 안전 운전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