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어떻게 처리하고 계신가요? 유통기한이 지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신경 쓰지 않고 드시는 분도 계실 테고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은 바로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하시는 분도 계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2023년 1월 1일부터는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뀌어 표기가 된다고 하는데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은 무엇이 다른지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소비기한이란?
소비기한은 식품을 정해진 보관방법으로 보관했을 때 먹어도 안전상 문제가 없는 기한을 이야기합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소비기한까지는 음식을 먹어도 문제가 없지만, 그 이후에는 보관을 잘했어도 음식이 상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점
유통기한은 판매자가 상품을 유통하거나 판매가 허가되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즉, 유통기한은 판매자가 중심이 되는 기한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음식은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어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반대로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기한으로, 실제로 식품을 먹어도 되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소비기한이 지난 음식은 고민 없이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소비기한으로 바뀌는 이유
소비기한으로 바뀌는 큰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유통기한에 대한 오해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함
- 세계적으로 표기 방법을 통일시키기 위함
그동안 유통기한이 지나도 음식에 따라 적게는 며칠부터 길게는 몇 개월까지 음식을 먹어도 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먹어도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먹더라도 얼마나 시간이 지나면 먹으면 안 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들이 많이 버려졌는데요. 소비기한으로 변경되면 이렇게 유통기한에 대한 오해로 인하여 버려지는 음식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EU를 포함한 대다수 국가에서는 음식의 소비기한을 표기하고 있어, 우리나라와 표기법이 달랐는데요. 이제는 우리나라도 소비기한으로 표기하게 되면서 다른 국가와 표기법을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2023년 1월 1일부터 바뀌게 되는 소비기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제는 소비기한으로 소비자가 음식을 먹어도 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된 것이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생활 및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시딘과 마데카솔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0) | 2022.11.25 |
---|---|
성인 ADHD의 증상과 자가 진단 방법 (0) | 2022.11.24 |
자동차 급발진 발생 시 조치 방법 (0) | 2022.11.22 |
2022 스타벅스 겨울 프리퀀시 이벤트 진행 소식 정리 (0)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