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상식

제야의 종을 33번 울리는 이유

by 일상 지기 2022. 12. 31.

연말이 되면 보신각에 모여 제야의 종을 함께 타종하는 행사를 진행합니다. 그런데 제야의 종은 총 33번 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래서 오늘은 제야의 종을 타종하는 것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으며, 왜 33번을 타종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타종의 유래


 

타종은 조선 초기 태조 때 도성의 4대문인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과 4소문인 혜화문, 소덕문, 광희문, 창의문을 열고 닫음을 타종을 통해 한 번에 열고 닫는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조선의 궁궐과 4대문 이미지

 

새벽에 치는 타종과 저녁에 치는 타종은 그 이름과 치는 횟수가 서로 달랐습니다. 새벽에 치는 타종은 파루라고 불렀으며, 33번의 타종 후 통금을 해제하고 도성을 열어 하루를 시작함을 알리는 역할을 했습니다. 반대로 저녁에 치는 타종은 인정이라고 불렀으며, 28번의 타종 후 통금이 시작되고 도성의 문을 모두 닫는 역할을 했습니다.

 

종을 33번 치는 이유


그렇다면 파루는 어째서 33번의 종을 치게 되었을까요? 이유는 불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파루는 불교의 수호신인 제석천이 이끄는 33천에 그날 하루의 국가의 태평과 백성의 안녕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야의 종은 33번의 종을 치며 그 해 국가의 태평과 우리 모두의 안녕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제야의 종에는 불교적인 의미가 담겨있을지 모르겠지만, 국가의 안녕과 우리 모두의 태평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는 만큼 불교적인 행사는 아니며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행사입니다.

 

댓글